나는 북한의 지배자들을 싫어한다.
그들이 어려운 시기를 헤쳐나간 뛰어난 능력자라는 점은 인정하지만 그렇다는 이유만으로 그렇게 권력을 독점하며 인민을 지배할 수는 없는 일이다.
우리네 대한민국의 민주공화국이 참 공허하듯이,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정신도 참으로 공허하다.

예전에 경향신문 대담을 할때 김상봉 선생님이 북한에 관심을 두지 않는 지식인은 진보적 지식인이 아니라고 했는데, 관심을 두지 않는 건 아니지만 왜 그곳의 문제를 우리가 결정하려 드는지를 여전히 이해하지 못한다.
북한의 인민들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게끔 연대하고 도와주는 역할은 할 수 있지만 그네들의 삶을 우리가 결정하고 이끌 수 있을까?

이런 복잡한 감정 때문인지 탈북자 또는 북한이탈주민 또는 새터민, 기타 등등으로 불리는 사람들에 대한 감정도 복잡하다.
그런데 아무리 상황이 복잡하다해도 북한에서 권력을 누렸던 사람들이 뛰쳐나와 북한을 비판하는 것에 대해서는 좋은 감정을 가질 수가 없었다.
아마 그런 좋지 않은 감정의 정점에 황장엽이라는 인물이 있었던 듯하다.
이미 돌아가신 분이라 좀 그렇지만, 그에 대한 부정적인 감정만 가득 품고 있었다.

그러던 중 도서관 서가를 돌다 우연히 황장엽의 [민주주의 정치철학]이란 책을 발견했다.
예전에 봤을 수도 있지만 아마 부정적인 감정이 그 책의 존재를 무시했을 것이다.
더구나 출판사도 시대정신이고...
얼마 전도 황장엽이라는 이름을 먼저 봤다면 당연히 넘어갔겠지만 책의 표지가 없고 두껍고 낯선 하드카바의 책이라 슬쩍 꺼내봤다.
몇 페이지 읽다 좀 진지하게 읽어봐야겠다 싶어 대출해서 읽었다.

아, 그런데 이건 왠 일인가...
황장엽이라는 인물이 북한 최고의 이데올로그였다는 사실은 틀리지 않았다.
자신의 사상을 이처럼 명쾌하게 정리할 수 있는 사람이, 그것도 민주주의에 관한 얘기를 고대 아테네나 공화주의같은 서구정신에 기대지 않고 풀어낼 수 있는 지식인이, 약 600페이지에 달하는 분량을 각주에 의존하지 않고 한달음에 써낼 학자가 한국에 몇이나 될까.
책의 내용에 전적으로 공감하지는 않지만 그의 사유의 폭과 깊이에 감탄하며 몇 일간 이 책에 푹 빠져 있었다.
나의 편견을 비판하며...


이 책의 몇몇 핵심 구절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자연개조사업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인간의 사회생활이 경제생활이며 인간개조사업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인간의 사회생활이 정신문화생활이고 사회관계개조사업에 기초하여 이루어지는 인간의 사회생활이 정치생활이다.” 황장엽 선생은 정치의 기본개념을 권력이 아니라 인간의 사회적 협조성에서 찾는다. “인간과 인간, 인간과 재부를 어떻게 결합시키는가에 따라 사회에서 차지하는 사람들의 자주적 지위와 창조적 역할에서 큰 차이를 가져오게 된다. 그러므로 사회는 자기의 생존과 발전의 근본요구인 사회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자주적 지위와 창조적 역할을 높이는 방향에서 자기의 구성요인들을 결합시키고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하지 않으면 안 된다.” 즉 “정치의 본질은 사회관계를 개조하고 관리해 나가는 사회의 자체 관리기능이라는데 있다.”


“인간은 경제관계와 문화관계에 의거하여 경제생활과 정신문화생활을 하지만 경제관계나 문화관계 자체를 개조하고 발전시키는 것은 경제나 문화 분야의 과업이 아니라 정치의 과업인 것이다.…경제관계나 문화관계를 개조하는 활동을 보장하기 위하여 맺어지는 사회관계가 다름 아닌 정치관계이다.”


“정치는 고립된 개인의 생명을 위대한 집단의 생명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사람들에게 위대한 집단의 생명을 지니고 사는 끝없는 기쁨과 행복을 안겨주며 세계의 주인, 자기 운명의 주인으로서 살며 발전할 수 있는 불패의 힘을 안겨준다. 물론 개인은 집단의 생명을 독점하는 것이 아니라 그것의 공동의 주인으로 된다. 위대한 생명의 공동의 주인으로 된다고 하여 주인으로서의 지위가 약화되는 것이 아니다. 사랑하는 부부가 결합된 생명을 공유한다고 하여 결합된 생명의 주인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생명과 생명을 결합시키면 생명력이 비상히 강화될 뿐 아니라 개인의 생명과는 질적으로 다른 새로운 생명이 탄생하게 된다. 생명과 생명이 결합되면 인간의 자주성과 창조성이 비상히 강화된다.”


황장엽 선생은 자신의 민주주의 정치철학을 “개인주의적 인본주의 사상이며 개인중심 민주주의 정치사상”이라 정의한다. 그는 자신의 정치철학을 정의의 원리와 사랑의 원리로 설명한다. “정의의 원리가 인간이 개인적 존재라는 특징과 결부되어 있다면 사랑의 원리는 인간이 집단적 존재라는 특징과 결부되어 있다.”


“사회에서 차지하는 인간의 지위와 역할을 규제하는 사회관계를 개변시키는 것은 정치의 임무에 속한다. 경제의 민주화를 떠나서는 정치의 민주화가 불가능하지만 정치의 민주화를 떠나서는 경제의 민주화가 완성될 수 없다. 세계민주화의 물질적 조건은 경제의 세계화를 통하여 마련될 수 있지만 세계민주화는 세계 인민들의 민주주의적인 정치적 협조와 결부됨으로써만 실현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