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런 부조리로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고통을 겪는지를 보라. 다른 사람을 위해 일하는 농부들, 지주가 밀을 먹을 때 정작 자신은 짚을 씹는 농부들, 우리 자신이 그런 사람들이다. 넝마를 입고 비단과 벨벳을 짜는 노동자들, 우리가 바로 다중(multitude)이다. 공장의 소음이 순간 멈출 때, 우리는 성난 바다처럼 거리와 광장으로 뛰쳐나가리라.…매일매일 고통을 겪고 분노하는 우리 모두가 다중이다. 우리는 모든 것을 에워싸고 삼킬 수 있는 바다이다. 우리가 그럴 뜻만 품는다면, 정의를 이룰 순간은 오고야 만다.”

위의 글은 러시아의 아나키스트 크로포트킨(1842~1921)이 1880년 《반란자》라는 잡지에 실은 ‘청년에게 호소함’이라는 글의 마지막 부분이다. 부나 권력을 얻기 위해 의학과 법학, 과학 등을 공부하는 청년들에게 크로포트킨은 함께 혁명가로 살자고 호소한다. 당신은 굶주려서 영양실조에 걸린 사람들에게 영양가 있는 음식을 챙겨 먹어라 얘기하는 의사가, 그리고 세를 내지 못해 쫓겨나는 소작인들이나 부당한 대우에 맞서 예고 없는 파업에 나선 노동자들에게 법을 지키라고 얘기하는 법관이 되려 하는가? 크로포트킨은 사회의 부조리함에 눈감고 자신의 양심을 속이며 수치스럽게 권력과 부를 좇지 말고 청년의 힘과 능력을 가장 필요로 하는 다중 속으로 들어가자고 호소한다.


크로포트킨의 호소는 어떤 이론을 따르는 주장이 아니었다. 크로포트킨 자신도 청년기에 귀족의 명예와 학자의 명성을 모두 버리고 러시아 비밀경찰의 추적을 받는 아나키스트의 길을 선택했기 때문이다. 『크로포트킨 자서전』은 크로포트킨이 그런 선택을 했던 이유와 그가 하필이면 아나키스트로 살려고 결심했던 이유를 우리에게 알려준다. 크로포트킨을 혁명가의 길로 이끈 것은 지식이 공유되고 민중이 그 지식을 배울 기회를 가진다면 그들이 많은 창조적인 행위들로 자율적인 공동체를 만들 것이라는 믿음이었다. 그리고 그는 스위스 쥐라연합에서의 경험과 국가사회주의에 대한 불신 때문에 아나키즘을 선택했고 평생 아나키스트로서의 삶을 살았다. 『자서전』은 한 사람의 삶이 어떻게 이론을 구성하고 또 그 앎이 어떻게 삶으로 실현되는지를 잘 보여준다. 그러니 ‘청년에게 호소함’이라는 글은 머리가 아니라 몸으로 쓴 자전적 기록이다.

그런 점에서 『자서전』은 그동안 우리가 읽어왔던 ‘위인전’이 결코 아니다. 크로포트킨은 자신의 얘기만이 아니라 당시 사회의 변화와 사람들이 겪던 비참한 현실을, 끓어오르던 혁명의 기운을 꼼꼼히 기록했다. 특히 그가 러시아와 유럽을 오가며 보고 겪은 이야기들은 아나키즘의 관점에서 역사를 새롭게 해석하도록 돕는다.

『자서전』은 《애틀랜틱》이라는 잡지에 1898년 9월부터 1899년 9월까지 연재했던 내용을 고친 글이다. 당시에 크로포트킨은 『어느 반란자의 이야기』(1885), 『빵의 쟁취』(1892), 『들판․공장․작업장』(1899)같은 책을 냈고, 『상호부조론』(1902)의 일부를 《19세기》라는 잡지에 쓰며 유럽의 아나키즘 운동을 이끌고 있었다. 크로포트킨은 엘리트로 태어난 삶을 포기하는 방식이 아니라 엘리트가 독점하던 것을 다중과 나누는 방식으로 다중과 함께 사회를 변화시키려 했다.

그런데 『자서전』은 1899년부터 그가 심장질환과 폐렴으로 사망한 1921년까지 약 22년간의 기록을 담고 있지 않다. 그동안 제 1차 세계대전이 벌어졌고 1917년 6월 크로포트킨은 고향을 등진 지 약 40년 만에 러시아로 돌아갔다. 당시 정부가 장관직을 제안했지만 그는 제안을 거부했다. 그 뒤 볼셰비키가 권력을 장악하자 크로포트킨은 고향으로 내려가 남은 생을 보냈다. 레닌에게 보낸 편지나 여러 기록들이 남아 있긴 하지만 『자서전』은 가장 논쟁적인 시기를 담고 있지 않아 아쉬움을 남긴다.

허나 크로포트킨이 보내는 호소는 지금도 우리의 마음을 파고든다. 용산참사나 사회적 양극화같은 구조화된 부조리가 다중을 고통으로 몰아가는 사회에서 청년들은 무엇을 좇고 있는가? 『자서전』에서 우리는 뛰어난 지성만이 아니라 다중의 고통을 나누고 그런 시대에 정면으로 도전하는 청년의 영혼을 목격할 수 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