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월 30일 민중의 집 1주년 기념토론회에 다녀왔다.
지난 1년 동안 많은 성장을 했고, 마포의 여러 단체들이 함께 해서 지역운동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함께 고민하기도 했다.
토론회 내용은 첨부한 파일을 보면 자세히 알 수 있다.

여러모로 민중의 집에 기대를 거는 사람들이 많다.
지역사회변화의 모범사례로 잘 뿌리내리기를 기대하며, 
아래 글은 문화연대 소식지에 쓴 글이다.
-----------------

첫 돌을 맞는 민중의 집을 반기며

 

하승우(풀뿌리자치연구소 이음 운영위원)

 

민중의 ’집이 1주년을 맞이했습니다. ‘민중’이라는 말이 다소 낯선 느낌을 주지만 ‘집’의 따스한 느낌이 사람들의 마음을 사로잡았나 봅니다. 내 것이 아니라 삶의 대안과 희망을 스스로 만들어가고자 하는 사람들의 것이고자 했기에 민중의 집이 좋은 모습으로 지역사회에 뿌리를 내려가고 있는 듯합니다. 1년 만에 5배나 증가한 민중의 집 회원들은 그런 믿음을 증명하는 소중한 씨앗들이라 믿습니다.

민중의 집 1주년 평가토론회 자료집을 보니 그동안 민중의 집이 1년 동안 참으로 많은 일을 했습니다. 경제위기와 먹거리 등에 관한 여러 차례의 시민강좌를 열었고, 어학과 요리 등 생활의 지혜를 나누는 생활강좌도 있었습니다. 회원과 주민이 서로 교류하는 화요밥상이나 다정한 시장 등의 프로그램도 있었고, 청소년교실이나 ‘토끼똥’ 공부방 역시 지역사회의 많은 호응을 받고 있는 것으로 압니다. 그리고 ‘민중’의 집이라는 이름에 맞게 저소득층 생계비 실태조사를 진행하고 심리상담사업이나 치과 공익진료도 진행했습니다. 또한 민중의 집이 여러 시민사회단체들이나 자생적인 주민모임에게 공간을 빌려준다는 점 또한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지난 토론회에서 안성민 사무국장은 민중의 집이 두 가지 목표, 즉 주민들의 일상적인 교육․문화공간이라는 목표와 지역커뮤니티 형성이라는 목표를 추구한다고 밝혔습니다. 그런데 그동안 진행된 사업들을 보면 첫 번째 목표와 관련된 사업들이 많고, 두 번째 목표와 연관된 사업들은 아직 부족한 듯합니다.

개인적인 인상을 얘기할 수도 있지만 민중의 집 1주년 설문조사 결과를 가지고 얘기를 나누면 좋을 것 같습니다. 1년 사업평가를 보면 잘된 사업이 ‘공부방과 청소년’(30%), ‘강좌’(25%), ‘공간나눔활동’(15%), ‘벼룩시장’(15%) 등이고, 기대에 못 미친 사업이 ‘다각적인 지역활동’(27%), ‘회원활동’(20%), ‘주민휴식공간’(18%), ‘소모임/동아리 활동’(14%)입니다. 이 결과를 봐도 기획된 프로그램들의 만족도가 매우 높은 반면, 나눠 쓰는 공간보다 회원/주민들의 활동공간으로서의 의미는 아직 부족하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런데 특이한 점은 활동가가 커뮤니티 형성의 역할을 제대로 못했다고 평가하는데, 응답자의 절반이 민중의 집을 ‘서로의 삶을 가꾸고 나누는 주민공동체’라고 평가한다는 점입니다. 어떻게 보면 이 결과는 활동가와 회원들이 생각하는 ‘주민공동체’의 상이 다를 수도 있다는 점을 뜻합니다. 그런 점에서 회원들이 생각하는 주민공동체가 어떤 것인지를 내부에서 진지하게 얘기를 나누고 그 과정에 회원들의 참여를 촉진시켜야 합니다. 목표를 정하고 그 목표를 실현할 프로그램의 우선순위를 정하는 과정(모든 일을 다할 수는 없으니까요)에 회원들의 참여를 유도하고 회원들이 역할과 책임을 나눠 갖도록 하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이런 과정이 필요하다는 점은 회원의 참여수준에서도 드러납니다. ‘보통이다’가 56%이고, ‘낮다’가 26%, ‘높다’가 12.5%라는 점은 그리 낮은 참여수준이 아닙니다. 그런데 앞으로 중점을 두어야 할 사업이 ‘살기좋은 마을만들기’(26%), ‘교육/문화사업’(19%), ‘비정규직지원/연대사업’(14%), ‘대안교육사업’(13%), ‘생활공동체사업’(13%), ‘지역정치사업’(11%) 등으로 다양하게 드러난다는 점은 조금 문제가 될 수 있습니다. 다양한 욕구가 드러나는 건 좋지만, 이 점을 다르게 해석하면 민중의 집의 지향에 관한 내부의 합의가 부족하다는 점을 뜻하기 때문입니다. 이런 일을 모두 하면 좋겠지만 실무자가 부족한 상황에서 지나치게 많은 과제는 많은 사업만 벌리고 수습을 못하거나 그 결과를 다른 사업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게 만들곤 합니다. 따라서 회원들이 민중의 집의 목표를 공유하고 각각의 사업을 책임지는 주체로 나서도록 만드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그런 점에서 회원참여를 고민할 때 회원참여가 어려운 이유도 함께 고민해야 합니다. 참여하기 어려운 이유를 보면, ‘시간과 여력이 부족’(50%), ‘민중의 집에 대해 잘 몰라서’(19%), ‘참여기회부족’(13%), ‘거리가 멀어서’(11%), ‘참여이유를 못 느낌’(7%)으로 나타납니다. 사실 정말 미친 듯이 바빠서 시간과 여력이 부족할 수도 있지만 자기 역할을 찾지 못해서 그럴 수도 있기 때문에 회원들이 시간과 여력을 민중의 집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자리를 마련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결국 하고픈 얘기는 회원들을 적극적으로 민중의 집으로 끌어들이고 그들 스스로가 지역사회를 조직화하는 역할을 맡도록 해야 한다는 점입니다. 지역사회의 주민들을 회원으로 만드는 게 중요한 과제라면 지역사회 조직화와 회원 조직화는 사실상 같은 과제입니다. 그리고 지역 내의 다른 단체들과 연대하고 공간이나 기자재를 공유하고 공동체를 활성화시키는 각각의 과정에 회원들이 자리를 잡게 해야 합니다. 그런 점에서 민중의 집 운영체계도 다시 고민하면 좋겠습니다. 각각의 동아리 모임이나 소모임들이 운영위원회에 참여하도록 유도하고, 지역 내의 단체들도 일정한 운영체계 속으로 끌어들이면 좋겠습니다. 주민을 다양한 프로그램의 대상자가 아니라 민중의 집 운영의 주체로 끌어들이는 것과 지역공동체를 만드는 과제는 나눠지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 회원사업(회원 대상의 사업이 아니라 회원의 역량강화 사업)을 공동체 사업과 분리시키지 않아야 합니다.

앞으로 민중의 집이 부딪쳐야 할 문제들이 많습니다. 재정적인 문제가 대표적이고 지방자치단체와 어떤 관계를 맺을지도 과제입니다. 하지만 내부가 단단하게 뭉쳐지고 지역사회가 민중의 집에 많은 신뢰를 보내고 우정을 느낀다면, 다른 단체들의 어려움이 생각보다 쉽게 풀릴 수 있다고 믿습니다. 첫 돌을 지낸 민중의 집이 건강한 사춘기를 맞이하길 기대하고 함께 하겠습니다.


+ Recent posts